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현대 상용차 앞으로 수소.전기차만 생산

by 밍밍E 2021. 9. 8.
반응형

현대차가 대형버스나 트럭과 같은 상용차 기준으로 앞으로 나올 새로운 모델은 수소. 전기차로만 생산하겠다고 발표한 가운데 전기차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 보도록 하겠습니다.


전기차

무공해차량으로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으며 배터리에서 나오는 전기에너지를 모터로 전달하여 움직일 수 있게 만든 차량입니다 내연기관차에는 엔진이 있지만 전기차는 배터리와 모터만으로 움직이며 엔진이 없기 때문에 온실가스나 대기오염물질이 배출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배터리 용량에 따른 주행거리 차이가 있어 내연기관차에 비하면 월등한 성능은 아닙니다. 그런 데다가 전기차 충전시간도 오래 걸리고 충전소도 서울과 같은 수도권에 주로 집중되어 있고 그러다 보니 충전소 관리도 잘 안되어있어 문제가 되고 있기도 하죠.


전기차 충전 속도

- 급속 충전기

  • 방전상태에서 30분 동안 80%까지 충전 가능
  • 공공기관과 고속도로 휴게소 등 외부장소에 설치
  • 완속충전기에 비해 빠른 속도로 충전해야 하기 때문에 50kW급 고용량의 전력을 공급

- 완속 충전기

  • 방전 상태에서 완전 충전까지 5시간 정도 필요함
  • 주택이나 아파트와 같은 곳에 설치
  • 급속충전기에 비해 낮은 3~7kW급 용량의 전력을 공급

전기차 충전요금

아이오닉 기준으로 완속은 100km당 3175원, 급속은 4650원 정도입니다.


수소 전기차

공기 중의 산소와 수소탱크의 수소를 반응시켜 진기에너지를 생산하여 모터를 움직이는 원리로 대기오염물질의 발생없이 물만 배출되기 때문에 전기차와 같이 친환경 자동차입니다. 자동차 내부의 연료전지에 수소가 공급되면 수소이온과 전자로 분리되는데 이 전자들이 모터를 움직이는 동력원인 전기에너지로 사용됩니다. 남은 수소이온은 공기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물을 생성. 대기 중으로 배출됩니다. 수소 전기차는 전기차와 같이 내연기관에 있는 엔진이 없지만 전기차와 다르게 내부에서 전기를 생산합니다.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우리나라가 강점이 있는 수소차와 연료전지를 양대 축으로 수소경제를 선도할 수 있는 산업생태계 구축을 목표

  • 수소차 누적 생산량 40년까지 620만대로 확대하면서 세계시장 점유율 1위 달성 목표
  • 수소충전소를 40년까지 1200개소로 확충
  • 수소 대중교통을 40년까지 택시 8만 대, 버스 4만 대, 트럭 3만 대 보급
  • 가정 건물용 연료전지 40년까지 94만 가구 보급
  • 선박, 열차, 건설기계 등에도 수소를 활용함으로써 미래 유망품목으로 육성
  • 전국적인 파이프라인 구축으로 수소 공급망 확대
  • 수소 가격을 40년까지 kg당 3000원 이하로 하락

 

현대차 그룹은 정부의 로드맵에 맞춰 '수소 비전 2040'이라는 목표를 세워 상용차뿐만 아니라 어디에나 수소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는 수소사회를 만들겠다고 합니다. 현대의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됩니다.

댓글